공지사항
게이미피케이션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게이미피게이션에 대하여 처음 이야기들을 것은
습관을 만들기 위해 일상을 반복하던 시기이다
아무리 계획을 잘 만들었다고 해도 일상에 지쳐가고 있었다
게임화 : 게이미피케이션 처음에 이야기 들었을 때는 별생각이 없었다
게임을 만들 때 보통 일상, 역사, 놀이 등을 게임화하니까 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반대로 게임을 일상으로 만든다?
게임의 요소들을 일상에 배치한다
기존에도 그렇게 해왔지만......
발상의 전환이라고 할까
일상의 일들 작은 일들에 대하여 개념화 하게 되었다
사다리타기해서 간식 사오던 일, 어린 시절 보물찾기 하던 일 등등
늘상하는 가위 바위 보 라든지
게이미피케이션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였지만
새로운 방법론으로 내게 다가왔다
습관을 만드는데 가장 재미있는 방법 게임화이다
일상에 나의 삶에 게임화를 적용할 것들을 찾아본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일상을 게임화하여 무엇을 얻을 것인가?
일상을 게임화하여 무엇을 얻을 것인가?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의 요소를 활용하여 일상에 적용" 하는 방법론이다 왜? 게임인가? 놀이의 가장 핵심은 즐거움이다 즐거움은 몰입을 가지고 오고 어려운 일을 지속적으로 추진해갈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사람의 욕구, 욕심을 바탕으로 이루고자 하는 것을 추진하게 하는 방법적인 부분이다 (성과-보상) 기원을 찾아보면 실용주의에 기초하고 있고 파블로프의 개 실험을 바탕으로 하는 조건과 반사에 실증적 방법을 활용한다 초기 연구는 군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심리학 측면에서 연구되었고, 마케팅에서 소비자 행동을 연구하는 것으로 발전하였다 국내에는 교육 부분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왜?) 보드게임에서 메카닉스라고 50가지 이상 방법론이 있다 하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게임들이 개발됨에 따라 게이미피케이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계속 계발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중독 문제가 대표적이고 요즘 이야기되고 있는 가스라이팅 등에도 활용될 수가 있어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래서 범위를 자기계발에 한정적으로 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조금 불편하다 배움 자체에 대한 내적 보상은 매우 크다 그런데 게이미피케이션 의 보상이 배움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초기 흥미를 유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은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개인적 기억으로는 학생 때 학원에서 학교 시험을 잘 보면 상금을 지급했다 처음 받았을 때는 좋았지만 오히려 학습에 흥미를 잃어버렸다 (역치 값이 늘어서 보상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고 해야 하나)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정교하게 디자인되지 않은 방법은 오히려 부작용을 가지고 온다 그래서 다른 사람에게 적용하기보다 자기 자신에게 적용해보고 점차 확대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자기계발에 한정해서 생각해 보기로 한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회사 HR에 적용해 보려 하였으나 다들 부정적이...
추석에 체스나 장기 한판 두실레요?
추석에 체스나 장기 한판 두실레요? 연초에 비즈니스모델 체스라고 사고 게임으로 컨설팅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었다 컨설팅 도구이기도 하지만 정작 내가 쓰기 위해서다 컨설팅 또는 분석을 위한 도구는 많이 있다 기존의 것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면서 무엇을 만들어 써? 라고 하면 나랑 잘 안 맞아서..... 계속 일을 하다 보면 안 되고 되고의 차이는 실행을 하느냐 안 하냐 차이에서 크게 나온다 우선하고 문제가 있으면 수정하고 하는 방법이 가장 빠르게 효과적으로 일을 수행하였고 성과도 컸다 그러나 대부분 회사에서는 결과를 요구한다 완성된 것을 요구한다 결과를 요구하고 기대효과를 요구한다 중간 과정의 어려움이나 문제를 듣고 싶어 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만든 것이다 과정에 너무 욕도 많이 먹고 시행착오도 많아서 "누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 하는가?" "왜?" 그리고 "돈은? " 머릿속으로 이것들을 고민하고 결과만 이야기하자 주위 환경, 강점, 약점, 역량, 관계, 이해관계자 이딴 것 - 다 머릿속에서 정리해 리자 간단하게 시행하기 위해 머리를 비우기 위해 핵심만 뼉다구만 추리자 머릿속으로 체스를 두어보자 이번 추석 때 팔 물건을 예로 생각해 보기로 했다 추석 때는 대목이다 그러나 기존 생산라인에 부담 주지 않으면서 진행할 수 있는 행사나 홍보계획 무엇이 없을까? 어제 사업소 직원과 관계자분 같이 행사 기획을 했다 그리고 회의 내용을 ok 했다 팔리면 되지... ㅋㅋㅋㅋ 원래 계획은 (누가) 우리 회사 추석 기획전 이번 추석에 (언제) 직거래 장터에 (어디서) 잣 선물 세트를(무엇을) 판매한다(한다) 500세트 (돈) 왜?-> 많이 팔라고 -> 그럼 안 팔리면 -> 잣이 팔릴까? -> 직거래는 잘 될까? -> 물건이 확보될까? -> 이거 우리가 해야 되나? 머릿속으로 여러 가지 질문을 하고 답변하고 ...
플레이어
플레이어 - 나혼자만 레벨업 카카오 웹툰이 핸드폰에 설치되었다 내가 설치한 기억이 없는데 기존에 앱이 업그레이드되면서 깔린 것인지 그렇게 우연히 앱을 열어보다 #나혼자만레벨업 을 보게 되었다 유명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무료 지원 5,000원 쿠폰으로 20회까지를 결재하고 열심히 보게 되었다 간단한 줄거리는 천사(광휘의 파편) 와 악마(군주)-(이해를 편하게 하기 위해) 간의 싸움에 먼치킨 주인공 등장으로 악을 물리치고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이다 이 웹툰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고 내용에 나오는 세계관과 소재(?)에 대하여 이야기하려고 한다 우선 주인공은 "플레이어"이다 웹툰 속 세계관에서는 마력의 등급이 정해져 있다 사람들의 마력이 처음 생길 때 정해진다는 것이다 s 급과 A급~E 급까지 주인공은 처음 E 급이었다가 특정 이벤트 후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성장" 하는 플레이어가 된다 내용 중간에 나오지만 주인공은 특별한 이유로 키워진 것이다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이 부분이다 웹툰의 제목에서처럼 나 혼자만 레벨 업 즉 게이미피케이션의 요소 레벨 주인공의 성장을 위해 게임적 요소를 차용하였다 기본적으로 지구상 여러 곳에 포탈이 생기고 초반에 악당을 물리치지 못하면 괴물들이 세상으로 나온다 일종의 퀘스트이고 사람들은 이러한 퀘스트를 해결하고 보상으로 아이템을 얻는다 기본적인 게임 구조이다 성과와 보상이다 뒤에 나오는 이야기이지만 천사(광휘이 파편) 측에서 환란을 대비하여 지구인들을 성장시키기 위해 계속 문제를 일으킨다 주인공의 성장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 혼자만 볼 수 있는 정보 창과 인벤토리 그리고 튜토리얼(?) 준비해서 주인공을 성장시킨다 마력이라는 것을 수치화하여 보여주고 무기 등을 인벤토리라는 형태로 보여주어 주인공이 게임을 한 번이라도 해봤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구성했다는 것이다 게임을 해본 사람이라면 쉽게 이해하겠지만 게임을 해보지 않은 사람들에겐 이해가 어려운 이야기 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이 게임이나...